영화 소개 죽음으로 시작된 진실의 물결
1987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된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실화 기반 영화로, 2017년 개봉 당시 전 세대를 아우르는 강한 울림을 주며 관객과 평단 모두의 찬사를 받은 작품입니다. 장준환 감독의 연출 하에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등 충무로 대표 배우들이 모두 모여 시대의 증언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낸 이 작품은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서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선택과 용기를 섬세하고 생생하게 그려냅니다. 1987년 1월,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한 사건은 당시 정권이 감추려 했던 국가폭력의 실체를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영화는 바로 그 시작점에서부터 진실을 향해 거세게 흐르는 정의의 물결을 따라갑니다. 영화는 “책상을 ‘탁’ 쳤더니 ‘억’ 하고 죽었다”는 어처구니없는 해명에서부터 시작해, 이를 덮으려는 권력과 밝혀내려는 시민, 기자, 검사, 교도관, 대학생 등 다양한 인물들의 시선과 행동을 병렬적으로 배치하며 진실이 드러나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사건을 추적하는 이들의 노력과 각각의 결단은 단지 극적인 장면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간 모두의 기록이자 그 결과로 피어난 민주주의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 되돌아보게 만드는 울림으로 남습니다.
주요 인물과 상징 각자의 자리에서 외친 정의
1987은 단일한 주인공이 아닌 다수의 인물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진실을 향해 나아가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는 단지 영화적 장치가 아닌 실제 6월 항쟁이 만들어진 방식과도 맞닿아 있어 더욱 강한 현실감을 부여합니다. 당시 서울경찰청 치안감이자 고문치사의 책임자였던 박처장(김윤석)은 진실을 은폐하고 사건을 축소하려는 권력의 축으로 묘사되며, 검사 최검사(하정우)는 상부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부검을 강행함으로써 진실을 세상에 알리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는 인물로 그려집니다.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정치범의 편지 한 통을 외부로 전달하며 진실을 세상에 연결시키는 중간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대학생 연희(김태리)는 정치와 거리를 두고 살던 인물이지만 시대의 흐름 속에서 각성하며 점차 연대의 의미를 체화하는 성장 서사를 보여줍니다. 기자 윤상삼(이희준)은 실존 인물로서 당시 민주언론의 최전선에 있었던 사람이며, 불가능해 보이던 진실의 단서를 퍼즐처럼 이어 붙여 세상에 고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모든 인물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한 사람의 역할’에 충실하며, 그들의 작은 움직임들이 모여 거대한 흐름을 만든다는 메시지는 이 영화의 핵심이자 지금의 현실에도 여전히 유효한 감동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가 전하는 사회적 메시지 침묵을 깬 이들의 연대
1987이 단순한 정치영화나 역사극에 머물지 않는 이유는, 이 작품이 단지 과거의 한 사건을 재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지기 때문입니다. 영화는 권력의 폭력성과 언론 통제, 공권력의 남용이라는 시대적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며, 그 안에서도 무너지는 법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 나선 평범한 사람들의 용기 있는 결단이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지를 실제보다 더 현실적으로 보여줍니다. 특히 영화 후반, 박종철의 죽음을 넘어서 서울대생 이한열의 피격 장면이 묘사되며 진실 은폐가 더 이상 불가능한 지점에 도달하게 되고, 결국 6월 항쟁의 촛불이 들불처럼 번져가는 광경은 실제 기록 영상과 교차되며 보는 이의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권력의 압박과 침묵의 공포가 지배하던 시대 속에서도 진실을 향한 목소리가 결코 꺼지지 않았고, 그것이 결국 독재 종식과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다는 점은 이 영화가 전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강렬한 메시지입니다. 영화는 정의가 늘 거창한 행동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매일 마주하는 두려움 속에서 침묵하지 않는 선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우리 모두가 사회를 바꿔낼 수 있는 ‘작은 주체’ 임을 일깨워줍니다. 디즈니+나 넷플릭스가 보여주는 글로벌 이야기 속에서, 웨이브에서 다시 만날 수 있는 1987은 한국 현대사를 돌아보게 만드는 동시에 우리 시대의 시민으로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지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하는 감동적인 실화영화입니다.